LLM(Large Language Model)은 현재 NLP분야에서 가장 주목 - 트랜스 포머 기반(Decoder Only)모델이 대세 - 상용으로는 ChatGPT4 , PaLM2 - 오픈 소스가 열심히 추격중 (요샌 falcon?)
Fine-Tuning - Pre trained Model(like ChatGPT)을 용도에 맞게 튜닝하는 것 - Instruction fine tuning -> RLHF(Reinforcement Learning with Human Feedback) -> Adaptor(P-tuning,LoRA) 방식으로 발전! - 오픈 소스 LLM 기반 파인 튜닝이 얼마나 퍼포먼스가 잘 나오는지는 아직 모름 - ChatGPT는 gpt-3.5-turbo, gpt-5모두 Fine Tuning API
In Context Learning - 우리 모두 열심히 하고 있는 Prompt Engineering이 바로 이것 - 별도의 모델 가중치 업데이트를 시키지 않고 명령 프롬프트 내에서 원하는 대답을 얻게 하는 것 - X-Shot Learning, Chain-of-Thought, Self-Consistency 등의 여러 기법들 존재
2. LLM Application (RAG)
LLM Application 이란? - 기존 애플리케이션: 코드를 통해 결정적인(Deterministic) Rule Base 기반으로 동작함 - LLM 애플리케이션 : 비결정성이 포함된(지멋대로의) LLM의 추론 결과를 바탕으로 동작함 - LLM은 사람 수준의 추론을 가능하게 해줘서 기존에 가지고 있던 문제를 수비게 풀어 줄 수 있음 (추천,분류,챗봇,AI어시스턴스)
LLM Application 간단 플로우 1) 클라이언트의 입력이 들어온다 2) 미리 설정한 프롬프트에 질문을 넣어서 LLM에게 요청한다 - 필요한 경우 질문에 필욯나 데이터를 포함시킨다 - 외부 API, 데이터베이스, VectorDB 등 3) 요청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프롬프트,함수를 실행한다(Chaining) 4) 최종 결과가 나오면 답변으로 반환한다.
사실 현재 대부분은 결국 Private/Public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답을 해주는 방식으로 LLM Application 개발중 - 고객센터 챗봇 - 법률 판례 검색 - 주식 리포트 생성
이는 RAG( Retrieval Augmented Generation) 이라고 하는데, 사용자 Input에 수집된 데이터를 합께 프롬프트에 담아 질문하는방식 -> 결국 본질은 1. 질문에 필요한 데이터를 최대한 잘 뽑아서 2. LLM이 잘 대답해 줄 수 있도록 하는 것
<Data Retrieval>
유저 질문(Input)에 답변할 떄 필요한 정보를 가져오기 위해서 여러가지 방법이 있음
1. 외부 API 활용 - search api (google search , bing...) -> 비쌈 - web scraper - Saas API (Slack , Notion) - Document loading (PDF,CSV, ...) 보통 Search API를 활용해서 답변의 신뢰도를 높이는 경우가 많음 (하지만 비쌈) LangChain, LlamaIndex, Unstructured 같은 오픈소스들에서 많이 지원해줌
2. Structured 데이터베이스 활용 - Data Warehouse(BingQuery, Snotflake, ...), RDBMS - 서비스 운영에 필요한 - 질문을 엔진에 질의할 수 있는 SQL 형태로 변경 필요 (LLM 에게 요청하기)
1) Question to LLM : 1주일 전 테슬라 가격 알려줘 2) LLM Answer : SELECt ticker, price FROM stock_price WHERE create_at = '2023-06-07 00:00:00' 3) Action : RDBMS에 쿼리
3. 키워드(Keyword) 기반 혹은 전문(Full Text) 검색 - Elastic Search , Solr , OpenSearch 등 - 기본적으로 많이 알려진 검색 엔진들 활용하기 - Saas(Algolia) 형태로 제공해주는 엔진을 사용하는 것도 빠른 시도에 도움이 될듯
4. 유사도 기반 검색 ( Similarity Search) *** 문맥의 유사도 분석 - 두 벡터의 거리를 기반으로 유사도를 측정함 - 일반적으로 텍스트를 임베딩(Enbedding)시킨 벡터로 변환하여 거리 기반 유사도를 검사 - 임베딩 모델을 통해 텍스트를 벡터로 임베딩하게 됨 - 임베딩된 벡터들이 들어간 데이터베이스를 VectorDB라고 함 - VectorDB는 벡터간 유사도 검색을 내부에서 지원해줌 - 사용자는 그냥 API로 손쉽게 검색만 하면 됨
5. VectorDB는 현재 크게 게임 체인저는 없음. 다 비슷비슷함 - Chroma, FAISS (테스트 환경, Evaluate 등의 로컬 환경에서 돌릴 때 유용) - Pinecone, Milvus, Weaviate 같이 요새 핫한 친구들도 나옴 - Elastic Search, Redis 처럼 범용 데이터베이스에서 지원해주기도 함
결국 유사도 검색의 핵심은 질문의 벡터와 답변의 벡터가 잘 연결 될 수 있도록 Embedding 하는 방식이 중요 - Embedding API로 openAI에서 제공하는 Embedding API 많이 사용자 - OpenAI Embedding API의 가격이 75% 저렴해짐 - Embedding Model도 계속 발전하고 있으니 계속 지켜봅시다
6. 우리는 Pinecone 사용 - 선택한 가장 큰 이유는 직관성 + 쉬운 사용 (Free Trial 제공부터 하면서 넘어옴) - Hybrid Search(Metadata Filter) + Upsert도 지원 - 다만 Saas 형태로만 지원하고 Self Hosting이 안되는 건 아쉬움
<Data Retrieval Tips>
7. 사실 검색 결과를 높이기 위해선 Semantic Search + Keyword Search 를 함께 적용하는 게 좋음 - 일반적으로 검색을 통해 다양한 후보군을 가져온 후 ReRanking 하는 작업 진행함 (구글도 그렇다고..) Cohere가 요새 뜬다는데 쓰는 것도 고려중(API 비용이 막 저렴한 건 아니라서 고민중) - 전통적인 검색 엔진 방법(Keyword , full text) + 유사도 검색을 함께 사용해서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 좋음 https://txt/cohere.com/rerank
8. Vector DB 매칭 확률을 높이기 위해서 여러가지 시도를 해보는 것도 의미가 있음 텍스트 데이터를 어떤 방식으로 넣을건지 고민해보자 1)어떻게 쪼개서 넣을거니? - Chunk Size, Overlap 여러 개로 테스트 해보기 - Pinpecone은 ChunkSize를 256~512 Token Size 로 추천함(OpenAI Embedding model) 2) Input을 어떻게 넣을 것인가? - 질문이 복잡하다면 쪼개보자! decompose - input 을 답변처럼 가공해서 쿼리하는 HYDE 방식도 있음 ( 테슬라 얼만지를 답변으로 반환하게 해서 답변을 가지고 유사도)
9. Embeddubg 방식을 바꿔보는 것도 테스트 해봐도 좋음 - 실제 벤치마크 점수 기준으로 openAI의 text-embedding-ada-002를 이기는 임베딩 모델들 나옴 - 하지만 편하게 쓸 수 있는 건 아직까지 OpenAI Embedding이 짱(cohere는 어떤지 궁금) https://huggingface.com/spaces/mteb/learderboard
10. 다양하게 VectorDB 인덱스를 구성하면서 테스트를 해보는 게 중요 뒷단에서 데이터를 빠르게 넣고 + 멱등하게 관리할 수 있는 Data Engineering infra 필요
<LLM Library>
11. LLM Application을 구성하기 위해서 필요한게 생각보다 있다 - Prompt 템플릿 + 변수관리 - 다양한 외부 데이터 접근(API) - Vector DB Embedding + Search - (이전에 답변에 컨텍스트가 필요하다면) Short Term memory - (복잡한 태스크 수행이 필요하다면) Agent - ...
현재 LangChain, LlamaIndex, Semantic Kernel 오픈 소스들이 나오고 있음
12. LLM Library(LangChain) - LangChain이 LLM Application 개발에서 가장 많이 쓰임 - LLM과 통신하며 수행하는 작업 단위를 Chain으로 만들어서 관리 - Vector DB 관련 인터페이스가 가장 직관적이고 깔끔 - Pyhton, Javascript 모두 지원 - LangChain 생태계 + 커뮤니티가 가장 활발하다 - Awesome-langchain에서 이모저모 볼 수 있음 https://github.com/kyrolabs/awesome-langchain - 근데 다큐먼트 솔직히 너무 불칠절하다 - Pinecone에서 런북 만든게 설명 잘되어 있음 (https://www.pinecone.io/learn/langchain) - Langchain에 뭐가 많기는 하지만 결국 유즈케이스에 맞게 직접 커스터마이징 하게 됨 - LangChain이 좋은 건 뛰어난 확장성 - 우리는 우리 용도에 맞게 커스터마이징 많이 해서 사용중 - 여러 용도에 맞게 custom chain을 만들어서 사용자 - Conversational Ceontext를 유지하게 위해 Custom Memory(서비스 DB와 통신)를 만들어 구현 - LLM 결과 모니터링을 위해 Custom Callback 구현해서 메타데이터, 지표 모니터링
13. LLM Library (Llama Index) - LangCahin과 유사하게 LLM Application 개발 올인원 툴로 사용 할 수 있음 - Index라는 단위로 데이터를 구조화 시켜 쿼리를 용이하게 함 - 다양한 Index(VectorStore, Tree, Knowledge Graph 등)을 지원함 - 즉 기존 데이터 소스를 더 효과적으로 찾을 수 있도록 인덱스 방식을 지원해줌 - 다양한 Query Engine을 지원해서 Index에 질의하는 방식을 다양화 함 - 복잡한 질문을 쪼개서 질문하기 - 확실히 Langchauin에 비해서 Data Retrieval 하는 과정과 Post Processing을 잘 지원해줌 - Langchain과 꽤 겹치는 부분이 있기도 하고 확실히 Retrieval 쪽에 강점이 있음 - 그러나 도입하려다 제외함. Langchain에 비해 러닝커브가 높고 Index management하기 쉽지 않음 - 여러 기법들을 적용하는 게 과연 얼마나 퍼포먼스 향상에 동무이 될지는 모르겠음 -> 결국 모두 실험해 봐야하는 데 이것 또한 비용 - Data Retrieval에 대한 퀄리티 고민을 더하게 될 때 도입 다시 해볼듯
14. 복잡합 유즈케이스 - 하나의 프롬프트에 많은 역할과 추론 과정을 요구할 때, 원하는 대로 말을 안들을 때가 많음 - 만약 이게 가능한 모델이 있다 하더라도(gpt-3.5는 우선 아님) 좋은 Prompt를 만지는 데 시간을 꽤 투자해야함
- 미국 주식 Q&A 챗봇 예시 1). 질문 유형에 따른 다양한 요구사항이 있음 - 시황을 물어볼 경우 시의성 중요함 - 특정 주식의 Fundamental 정보를 물어볼 경우 해당 정보에 접근하는 API 활용하기 - 질문이 여러 문맥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음 - 최근 3개월 간 가장 수익률이 높은 주식의 PER은 몇이야?(질문금지!)
2) 해결 방법( 두방식을 보통 같이 활용하곤 ) 가. 프롬프트의 역할을 명확하게 해서 쪼갠 후 Chaining하기 나. Retrospective 하게 추론 & 실행을 반복하는 Agent 활용하기( 반복적으로 물어보기)
- 프롬프트를 Chaining하여, 개별 단계에서 답변의 정확도를 높이기 (우리는 파이프라인이라 부름) - 다만, 답변 생성 시간/토큰 비용이 Trade-off + 초반 프롬프트에서 답변이 이상하면 downstream으로 에러가 전파될 수 있음 - 파이프라인을 잘 구성하기 위해서는 엔지니어링 리소스가 많이 들어감 - 예외처리, 유닛테스트/E2E테스트 모두 진행해봐야 함 - 우리 팀도 여러 파이프라인을 구성하여 답변 퀄리티를 높이기 위해 E2E테스트를 수시로 진행함
16. Agent (LLM에게 계속 반복적으로 물어봄..) - Agent : 목표와 사용가능한 도구를 주면 스스로 행동하도록 하는 방식 혹은 아키텍처 혹은 코드 구현체 - 외부 리소스(구글 서치, Open API, 기타 API 등)를 활용해서 복잡한 태스크를 수행해야 할 때 유용함 - AGI(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를 구현하는 기본적인 방식임 auto gpt-3
쉽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이 동작함 ( recursive 하게 동작함)
1) LLM에게 미리 정의한 툴(Search, VectorDB , 외부 API등)을 알려주고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 툴을 선택하게 한다 2) 선택한 툴을 코드로 실행해서 결과를 얻는다 3) LLM에게 결과를 주고 질문에 충분히 대답할 수 있는지 물어본다. 만약 충분히 대답이 되면 결과 반환 후 종료 4) 대답이 안되면 답변에 필요한 새로운 질문을 생성해 1-3 반복
- Auto-GPT, BabyAGI, Jarvis(HuggingGPT)등 다양한 아키텍처이자 구현체가 존재함 - 다만 위 친구들이 얼마나 활용도가 높은지는 모르겠음(구현체인 만큼 자유도가 떨어짐) - Agent를 사용하려면 자유도를 높게 가져갈 수 있는 Langchain을 활용하는 걸 추천함 - Langchain으로 autoGPT 구현한 코드도 있음( https://python.langchain.com/en/latest/use_cases/autonomous_agents/autogpt.html ) - Agnet는 Action의 Full Cycle이 LLM의 추론으로 돌아가는 방식임. 따로 운영시 테스트/디버깅이 힘들 수 있음. 충분히 잘 검토해보고 도입 필요가 있음 - 개인적으로는 예측 가능한 솔루션을 만들려면, Agent보다는 Prompt Chain + Rule Base(if-else 같은)로 가져가는 게 더 나아보임
17. 운영에서 신경 쓸 것 유저 인터페이스를 어떻게 가져가냐에 따라 기능적 요구사항이 달라짐 1) 챗봇 형태인가? - 응답 Latency가 중요 -> Streaming 구현 - 이전 대화를 바탕으로 대답할 것인가? -> Memory 구현 2) 사용자가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가? - Quota가 따로 없다면 ChatGPT의 경우 Rate Limit을 신경 써야함 - 백그라운드에서 Bulk로 돌리는 경우가 많으면 OpenAI Organization 추가하는 게 좋음 API 두개로 들고? - 인증이 없다면 외부 공격에 취약할 수 있음(다 돈이다!) 3) LLM Application 운영시 주요 metric - Token Size - First touch latency : 얼마나 답을 빠르게 시작했나 - Last touch latency : 얼마나 답을 빠르게 종료 했냐 4)후행 지표로 답변 Quality도 체크해야함 - 답변에 대한 Evaluation을 하는 파이프라인을 뒷단에 구성하는 것도 방법 5) 답변 퀄리티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Evaluation하고 Quality Control 필요 평가 기준을 세우고 일관된 템플릿으로 답변 결과에 대한 퀄리티 비교 및 제안 6)Data Ingestion Infra 고민해봐야함 - 결국 원본 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한 Stage(Data Warehouse, 운영 DB 등)를 두고 용도에 맞게 Ingest 시켜야함 - 워크플로우 툴(e.g Airflow)을 적용하는 게 추후 좋을 수 있음
18. 느낀점 -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는 것은 AI Engineering + Data Engineering(+MLOps) + Backend - Engineering 이 적절하게 섞여는 느낌 - 생각보다 답변을 제대로 하는 LLM Application을 만들기까지 노력이 꽤 들어감 - LLM 답변에 대한 퀄리티와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작업이 쉽지 않음 - 결국 답변 퀄리티를 높이기 위한 Ops 환경 구성이 생각보다 비용이 들음 (MLOps와 유사) - 결국 LLM Application의 품질은 답변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음. 답변 퀄리티를 높이기 위해선 Data Retrieval이 제일 중요한 것 같음 - 프롬프트를 계속 만지는 것보다 질문에 적합한 Data를 가져오도록 하는 게 더 나을수도 - 더 나은 답변이 나오도록 계속해서 실험해봐야함 이를 위한 실험 환경도 구성되어야함
3. LLM OPs
1.LLM을 위한 MLOps 환경 - LLM : 언어를 출력으로 하는 대규모 딥러닝 모델 - MLOps : ML기 1. LLM을 위한 MLOps 환경 - LLM : 언어를 출력으로 하는 대규모 딥러닝 모델 - MLOps : ML기반 애플리케이션 수명 주기를 관리하는 전체 환경 - 이미 학습된 LLM이 있다는 전제 하에 환경이 구성되었다는 점에서 MLOps와 다름 - 실험 측면에서도 MLOps는 모델의 아키텍처, 하이퍼 파라미터, 데이터 보강을 집중 - LLMOps는 프롬프트, 파인튜닝을 주로 봄
<LLM Ops 란?> 2. LLMOps는 무엇을 가능하게 하는가 1) LLM 관련 - Foundation Model 선택 - Fine tuning 2)Prompt Engineering - 프롬프트 별 버저닝 및 히스토리 관리 - 프롬프트 실행 3)Enxternal data Management - Test Data Set (보통 Q&A 셋) - Vector DB (& Embedding) 4)Evaluation - 프롬프트, 파이프라인(Prompt Chained)결과 평가 - 유저 피드백 루프 - A/B Testing 5)Deployment - Prompt, 파이프라인 배포 - LLM Metric 모니터링 3. Tool 소개 - Vellum - HoneyHive - FlowGpt, langflow ,flow eyes : prompt 끼리 chaining
4. 오픈소스/ Saas 보면서 느낀점 1)뭔가 하나를 딱 쓰고 싶지만, 다 애매함. 펀딩받고 있느 ㄴ단계의 서비스들이 많다 보니 아직까지 성숙도가 떨어짐 - 프롬프트 테스트 후 배포해도, 결국 배포된 api 하나만 사용하는게 아님 - 보통 프롬프트간 Control Flow가 적용된 파이프라인이 필요함 - +파이프라인이라는 작업 단위에 대한 Fine grained 설정이 필요함 - Visual Interface로 프롬프트를 체이닝 하는 경우, 중간에 output을 transform하는 경우들이 존재함 - External Data Management(VectorDB, Others...)에 대한 환경 제공은 아직 부족함 2)사내 LLMOps 툴 개발 - OpenAI Playground 에서 계속 테스트 하는건 더이상 힘들다고 판단 - 결국 인하우스 툴이 필요하다고 느껴져, 최소한의 기능으로 어드민 개발 거시적인 관점에서 하나의 질문도 여러번 해보는 것이 좋다 (매번 다른 답이 나오므로)
5. 느낀점 - 초반에 만들어둔 노력대비 아주 잘 사용하고 있음 아무리 못해도 프롬프트 버저닝, 배치실행 기능은 꼭 필요한듯. 지금이 가장 낫다는 보장이 없음 조금 더 예측 가능하고 정량적으로 평가를 진행하는 게 중요 - 이게 더 나을거 같아요 X - 테스트에서 이런 경향성을 보이고 있어요. 이어서 ~~~을 설정해서 운영중인 프롬프트와 비교해볼게요 O 다만 하나의 프로덕트를 만드는 느낌이라 비용이 꽤 들어갈 수 있는 걸 고려해야함 - DB 설계부터 버저닝, 배포 환경 격리 등 신경써야 할 게 꽤 많음
4.Prompt Engineering
1. - 영어로 작성하기 (한글로 쓰고 ChatGPT로 번역해서라도 넣으세요) - 간결하게 + 명확하게 작성하기 - 프롬프트 Instruction 문단에 대한 구분은 $$$ , """" 같은 구분자로 명확하게 - 예제를 넣자 - 하지 말라고 하기보단 하라고 하는게 나음
2.X-shot Learning : 예시를 주면서 단순한 프롬프트일수록 적용해줄 때 효과가 좋음 zero-shot , one-shot, few-shot : 예제를 넣어라
3. Chain-of-Thought : 생각하는 과정 넣기 추론 하게 하기 CoT와 X-Shot은 보통 함께 쓰는 게 좋음 우리도 기본적으로 CoT + X-Shot 활용함(아예 팀에서 사용할 템플릿 만드는 것 추천)
4.Self-Consistency LLM의 비결정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번 돌려서 결과 채택하기 비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우린 안씀) 다만 Data Retrieval을 할때 비슷한 방식을 적용해보는 시도는 가치가 있을지도
6.ChatGPT 결정성 관련 - 결정성(Determinitsic)을 높여야 하는 경우 Temperature, Top P를 낮게(0이 거의 기본값) 반면 창의적인 콘텐츠라면 Temperature나 Top P를 높게 가져가는 게 좋음 - OpenAI에서는 temperature와 top_p를 함께 만지는 것을 권장하지 않는다고 함 - 답변이 긴 경우, 반복을 줄이기 위해 Frequency Penalty를 높이는 것 권장 - 개인적으로, 출력 토큰이 많지 않은 경우에는 Temperature만 조절해도 충분했음 - ChatGPT 서비스의 gpt-3.5 모델과 gpt-3.5-turbo API는 다름. Gpt-3.5-turbo API 성능이 더 안좋음 - 따라서 API를 사용하는 경우 ChatGPT 서비스가 아닌 OpenAI Playground로만 테스트 해야함 - gpt-3.5-turbo가 text-davinch-003(Complete)와 10배 저렴+효율이 비슷하다고 했는데 잘 모르겠음 text-davinch-003가 거의 대부분 결과를 더 잘 만들어줌 - gpt-3.5-turbo-0301의 경우 System Message보단 User Message 쓰라고 권장 (gpt-3.5-turbo에서 system message에 대한 개선이 얼마나 되었는지는 모르겠음)
7. Hallucination 제일 중요한 건 Ground Truth를 잘 쥐어주는 것 시점에 대해서 제약사항을 주는 것도 좋음
- 답변의 신뢰성이 중요한 유즈케이스에서는 여러 조건으로 프롬프트를 옥죄는 게 나아보임 - ex1. 정말 맞는 지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하기 - ex2. 인용을 달게 하기 - 물론 옥죄는 만큼 신뢰성을 높아지지만 답변의 다양성은 낮아질 수 있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Hallucination이 종종 발생함) - PaLM2 같이 최신 정보를 바탕으로 대답이 가능한 모델을 쓰거나 ChatGPT4를 쓰는 것도 좋음 - 하지만 결국 직접 파인튜닝 하지 않을거라면, 댇바에 필요한 Ground Truth 소스들을 잘넣어 주는 게 퀄리티에 갖아 큰 영향을 끼침 - 결국 데이터를 잘 가져오자!
8. 프롬프트 평가(Evaluation) 우리가 만든 프롬프트는 정말 나은걸까?
1) 정답이 있다면? - 정답이 객관식이라면 Equal Check - 정답과 얼마나 유사한지 ChatGPT에게 물어보기 - 정답과의 유사도(Embedding)를 통한 점수화 - 사람이 측정
2) 정답이 없다면? - 프롬프트 간 비교 결과를 메트릭으로(자동화) - 사람이 측정(평가 기준을 명확하게 세우기)
프롬프트를 평가하면서 느낀건데,
- 프롬프트에 역할, 규칙이 많아질수록 말을 안듣는다 - 즉, 몇개 돌려보고 끝내는게 아니라 충분하 데이터 셋을 여러번 돌려보자 - 동일한 질문도 여러 번 돌려보는 것도 방법 - 포맷에 대한 확인도 꼭해보기 (이번 OepnAI Update에서 ChatGPT가 Structured format을 지원한다고 함)
9. 프롬프트 관리 팀에서 프롬프트를 관리하려면, 애초에 기본적인 포맷에 대한 템플릿은 Source of Truth로 잡고 가는 게 낫다 (가독성도 가독성이지만 프롬프트를 처리하는 코드-레벨에서 편리함)
10. 느낀점 - 프롬프트에 정답은 없다. 너무 개별적인 것들에 집중하면 머리아픔(거시적으로 봐야함)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어느정도만 잘해놓고 다른일 하는게 나을수도 - LLM의 성능이 계속 더 발전하니, 우리가 고민하는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이슈들이 금방 해결 될수도 있다. - Hallucination의 본질적은 문제는 결국 Ground Truth를 잘 줘야함. 즉, Input에 해당하는 정보들을 잘 가져오는게 프롬프트를 튜닝하는 것보다 답변 퀄리티가 더 잘나올 수 있음
부모 객체를 상속받아 여러 자식객체들로 이루어진 jsonString을 java backend에서
VO로 mapping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deserialize)
다음과 같은 구조의 class들이 있다.
public abstract class Animal{
private String type;
private String name;
}
public class Dog extends Animal{
private int age;
//getter , setter
}
public class Cat extends Animal{
private boolean isHome;
//getters, setters
}
Animal이 부모이고 Dog과 Cat이 자식이다. Dog과 Cat 모두 Animal을 상속 받고 있다.
다음과 같은 json String이 있으면 이 code를 사용해서 vo객체에 mapping 해줄 수 있다.
public List<Animal> deserializeJsonStringToObj(String str){
// example : str = "[{\"name\":\"Milo\",\"age\":\"9\",\"type\":\"Dog\"},{\"name\":\"miyao\",\"isHome\":\"true\",\"type\":\"Cat\"}]";
Type listOfAnimals = new TypeToken<ArrayList<Animal>>(){}.getType();
RuntimeTypeAdapterFactory<Animal> adapter = RuntimeTypeAdapterFactory.of(Animal.class, "type")
.registerSubtype(Dog.class)
.registerSubtype(Cat.class);
Gson gson = new GsonBuilder().registerTypeAdapterFactory(adapter).create();
return gson.fromJson(str, listOfFilterJson);
}
RuntimeTypeAdapterFactory을 사용하는게 쉬운데,
gson에 RuntimeTypeAdapterFactory가 종종 없다고도 한다.
그러면 다음 파일을 불러와서 쓰면된다.
package com.sds.lowcode.data.functions;/*
* Copyright (C) 2011 Google Inc.
*
* Licensed under the Apache License, Version 2.0 (the "License");
* you may not use this file except in compliance with the License.
* You may obtain a copy of the License at
*
* http://www.apache.org/licenses/LICENSE-2.0
*
* Unless required by applicable law or agreed to in writing, software
* distributed under the License is distributed on an "AS IS" BASIS,
* WITHOUT WARRANTIES OR CONDITIONS OF ANY KIND, either express or implied.
* See the License for the specific language governing permissions and
* limitations under the License.
*/
import com.google.gson.Gson;
import com.google.gson.JsonElement;
import com.google.gson.JsonObject;
import com.google.gson.JsonParseException;
import com.google.gson.JsonPrimitive;
import com.google.gson.TypeAdapter;
import com.google.gson.TypeAdapterFactory;
import com.google.gson.internal.Streams;
import com.google.gson.reflect.TypeToken;
import com.google.gson.stream.JsonReader;
import com.google.gson.stream.JsonWrit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util.LinkedHashMap;
import java.util.Map;
/**
* Adapts values whose runtime type may differ from their declaration type. This
* is necessary when a field's type is not the same type that GSON should create
* when deserializing that field. For example, consider these types:
* <pre> {@code
* abstract class Shape {
* int x;
* int y;
* }
* class Circle extends Shape {
* int radius;
* }
* class Rectangle extends Shape {
* int width;
* int height;
* }
* class Diamond extends Shape {
* int width;
* int height;
* }
* class Drawing {
* Shape bottomShape;
* Shape topShape;
* }
* }</pre>
* <p>Without additional type information, the serialized JSON is ambiguous. Is
* the bottom shape in this drawing a rectangle or a diamond? <pre> {@code
* {
* "bottomShape": {
* "width": 10,
* "height": 5,
* "x": 0,
* "y": 0
* },
* "topShape": {
* "radius": 2,
* "x": 4,
* "y": 1
* }
* }}</pre>
* This class addresses this problem by adding type information to the
* serialized JSON and honoring that type information when the JSON is
* deserialized: <pre> {@code
* {
* "bottomShape": {
* "type": "Diamond",
* "width": 10,
* "height": 5,
* "x": 0,
* "y": 0
* },
* "topShape": {
* "type": "Circle",
* "radius": 2,
* "x": 4,
* "y": 1
* }
* }}</pre>
* Both the type field name ({@code "type"}) and the type labels ({@code
* "Rectangle"}) are configurable.
*
* <h3>Registering Types</h3>
* Create a {@code RuntimeTypeAdapterFactory} by passing the base type and type field
* name to the {@link #of} factory method. If you don't supply an explicit type
* field name, {@code "type"} will be used. <pre> {@code
* RuntimeTypeAdapterFactory<Shape> shapeAdapterFactory
* = RuntimeTypeAdapterFactory.of(Shape.class, "type");
* }</pre>
* Next register all of your subtypes. Every subtype must be explicitly
* registered. This protects your application from injection attacks. If you
* don't supply an explicit type label, the type's simple name will be used.
* <pre> {@code
* shapeAdapterFactory.registerSubtype(Rectangle.class, "Rectangle");
* shapeAdapterFactory.registerSubtype(Circle.class, "Circle");
* shapeAdapterFactory.registerSubtype(Diamond.class, "Diamond");
* }</pre>
* Finally, register the type adapter factory in your application's GSON builder:
* <pre> {@code
* Gson gson = new GsonBuilder()
* .registerTypeAdapterFactory(shapeAdapterFactory)
* .create();
* }</pre>
* Like {@code GsonBuilder}, this API supports chaining: <pre> {@code
* RuntimeTypeAdapterFactory<Shape> shapeAdapterFactory = RuntimeTypeAdapterFactory.of(Shape.class)
* .registerSubtype(Rectangle.class)
* .registerSubtype(Circle.class)
* .registerSubtype(Diamond.class);
* }</pre>
*
* <h3>Serialization and deserialization</h3>
* In order to serialize and deserialize a polymorphic object,
* you must specify the base type explicitly.
* <pre> {@code
* Diamond diamond = new Diamond();
* String json = gson.toJson(diamond, Shape.class);
* }</pre>
* And then:
* <pre> {@code
* Shape shape = gson.fromJson(json, Shape.class);
* }</pre>
*/
public final class RuntimeTypeAdapterFactory<T> implements TypeAdapterFactory {
private final Class<?> baseType;
private final String typeFieldName;
private final Map<String, Class<?>> labelToSubtype = new LinkedHashMap<String, Class<?>>();
private final Map<Class<?>, String> subtypeToLabel = new LinkedHashMap<Class<?>, String>();
private final boolean maintainType;
private RuntimeTypeAdapterFactory(Class<?> baseType, String typeFieldName, boolean maintainType) {
if (typeFieldName == null || baseType == null) {
throw new NullPointerException();
}
this.baseType = baseType;
this.typeFieldName = typeFieldName;
this.maintainType = maintainType;
}
/**
* Creates a new runtime type adapter using for {@code baseType} using {@code
* typeFieldName} as the type field name. Type field names are case sensitive.
* {@code maintainType} flag decide if the type will be stored in pojo or not.
*/
public static <T> RuntimeTypeAdapterFactory<T> of(Class<T> baseType, String typeFieldName, boolean maintainType) {
return new RuntimeTypeAdapterFactory<T>(baseType, typeFieldName, maintainType);
}
/**
* Creates a new runtime type adapter using for {@code baseType} using {@code
* typeFieldName} as the type field name. Type field names are case sensitive.
*/
public static <T> RuntimeTypeAdapterFactory<T> of(Class<T> baseType, String typeFieldName) {
return new RuntimeTypeAdapterFactory<T>(baseType, typeFieldName, false);
}
/**
* Creates a new runtime type adapter for {@code baseType} using {@code "type"} as
* the type field name.
*/
public static <T> RuntimeTypeAdapterFactory<T> of(Class<T> baseType) {
return new RuntimeTypeAdapterFactory<T>(baseType, "type", false);
}
/**
* Registers {@code type} identified by {@code label}. Labels are case
* sensitive.
*
* @throws IllegalArgumentException if either {@code type} or {@code label}
* have already been registered on this type adapter.
*/
public RuntimeTypeAdapterFactory<T> registerSubtype(Class<? extends T> type, String label) {
if (type == null || label == null) {
throw new NullPointerException();
}
if (subtypeToLabel.containsKey(type) || labelToSubtype.containsKey(label)) {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types and labels must be unique");
}
labelToSubtype.put(label, type);
subtypeToLabel.put(type, label);
return this;
}
/**
* Registers {@code type} identified by its {@link Class#getSimpleName simple
* name}. Labels are case sensitive.
*
* @throws IllegalArgumentException if either {@code type} or its simple name
* have already been registered on this type adapter.
*/
public RuntimeTypeAdapterFactory<T> registerSubtype(Class<? extends T> type) {
return registerSubtype(type, type.getSimpleName());
}
public <R> TypeAdapter<R> create(Gson gson, TypeToken<R> type) {
if (type.getRawType() != baseType) {
return null;
}
final Map<String, TypeAdapter<?>> labelToDelegate
= new LinkedHashMap<String, TypeAdapter<?>>();
final Map<Class<?>, TypeAdapter<?>> subtypeToDelegate
= new LinkedHashMap<Class<?>, TypeAdapter<?>>();
for (Map.Entry<String, Class<?>> entry : labelToSubtype.entrySet()) {
TypeAdapter<?> delegate = gson.getDelegateAdapter(this, TypeToken.get(entry.getValue()));
labelToDelegate.put(entry.getKey(), delegate);
subtypeToDelegate.put(entry.getValue(), delegate);
}
return new TypeAdapter<R>() {
@Override public R read(JsonReader in) throws IOException {
JsonElement jsonElement = Streams.parse(in);
JsonElement labelJsonElement;
if (maintainType) {
labelJsonElement = jsonElement.getAsJsonObject().get(typeFieldName);
} else {
labelJsonElement = jsonElement.getAsJsonObject().remove(typeFieldName);
}
if (labelJsonElement == null) {
throw new JsonParseException("cannot deserialize " + baseType
+ " because it does not define a field named " + typeFieldName);
}
String label = labelJsonElement.getAsString();
@SuppressWarnings("unchecked") // registration requires that subtype extends T
TypeAdapter<R> delegate = (TypeAdapter<R>) labelToDelegate.get(label);
if (delegate == null) {
throw new JsonParseException("cannot deserialize " + baseType + " subtype named "
+ label + "; did you forget to register a subtype?");
}
return delegate.fromJsonTree(jsonElement);
}
@Override public void write(JsonWriter out, R value) throws IOException {
Class<?> srcType = value.getClass();
String label = subtypeToLabel.get(srcType);
@SuppressWarnings("unchecked") // registration requires that subtype extends T
TypeAdapter<R> delegate = (TypeAdapter<R>) subtypeToDelegate.get(srcType);
if (delegate == null) {
throw new JsonParseException("cannot serialize " + srcType.getName()
+ "; did you forget to register a subtype?");
}
JsonObject jsonObject = delegate.toJsonTree(value).getAsJsonObject();
if (maintainType) {
Streams.write(jsonObject, out);
return;
}
JsonObject clone = new JsonObject();
if (jsonObject.has(typeFieldName)) {
throw new JsonParseException("cannot serialize " + srcType.getName()
+ " because it already defines a field named " + typeFieldName);
}
clone.add(typeFieldName, new JsonPrimitive(label));
for (Map.Entry<String, JsonElement> e : jsonObject.entrySet()) {
clone.add(e.getKey(), e.getValue());
}
Streams.write(clone, out);
}
}.nullSafe();
}
}
해당 클래스가 필요한 의존성과 맞는 Mock 객체들을 감지하여 , 해당 클래스의 객체가 만들어질때 사용하여
객체를 만들고 해당변수에 객체를 주입하게된다.
1.2 @Spy
- 실제 객체의 스파이를 생성하여 실제 객체의 메소드를 호출 할 수 있게 합니다.
- stub 하면 stub 하는 객체 , 아니면 실제 객체를 호출 합니다. - 하나의 객체를 선택적으로 stub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 mockito.spy()도 사용가능
- When Returns 해서 어떤값이 들어갔을때 해당 값이 리턴되도록 미리 선언해둔다
이유는.. 해당 method는 부가적인 기능이라 중점적인 기능을 test 하기위해 미리 선언해두는 것을 stubbing이라고 한다.
- 둘의 가장 큰 차이점은@Spy는실제 인스턴스를 사용해서 mocking을 하고,@Mock은 실제 인스턴스 없이가상의 mock 인스턴스를 직접 만들어 사용한다는 것이다. 그래서@Spy는Mockito.when()이나BDDMockito.given()메서드 등으로 메서드의 행위를 지정해 주지 않으면@Spy객체를 만들 때 사용한 실제 인스턴스의 메서드를 호출한다.
@Spy
List<String> spyList = new ArrayList<String>(); //초기화
@Test
public void whenUsingTheSpyAnnotation_thenObjectIsSpied() {
spyList.add("one");
spyList.add("two");
Mockito.verify(spyList).add("one");
Mockito.verify(spyList).add("two");
assertEquals(2, spyList.size());
}
2. SpringBootTest의 Test double
1. @MockBean
@MockBean은 스프링 컨텍스트에 mock객체를 등록하게 되고 스프링 컨텍스트에 의해 @Autowired가 동작할 때 등록된 mock객체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동작합니다.
- Spring 영역의 어노테이션 - @Mock은 @InjectMocks에 대해서만 해당 클래스안에서 정의된 객체를 찾아서 의존성을 해결합니다. - @MockBean은 mock 객체를 스프링 컨텍스트에 등록하는 것이기 때문에 @SpringBootTest를 통해서 Autowired에 의존성이 주입되게 됩니다.
- @Autowired라는 강력한 어노테이션으로 컨텍스트에서 알아서 생성된 객체를 주입받아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Mock 종류
의존성 주입
@Mock
@InjectMocks
@MockBean
@Autowired
2. @SpyBean
- @MockBean과 마찬가지로 스프링 컨테이너에 Bean으로 등록된 객체에 대해 Spy를 생성
- @SpyBean이 Interface일 경우 구현체가 반드시 Spring Context에 등록되어야 합니다. => 등록되지 않은 상태라면, @MockBean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 @SpyBean은 실제 구현된 객체를 감싸는 프록시 객체 형태이기 때문에 스프링 컨텍스트에 실제 구현체가 등록되어 있어야 합니다.
보통은 Vue에서 data의 변화를 감지하는데 이것을 보통 reactive 하다고 말합니다.
그런데 아시다시피 Vue의 reactivity 시스템은 모든 변화를 감지하지 못합니다..(언제그러는지는 정확하게 모르겠으나 개발하다보면 왕왕 있습니다..)
그래서 변화를 감지하지 못할때 강제 리렌더링을 해줍니다.
forceUpdate를 하기위해서는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 Global하게 forceUpdate 하는 것과component 단위로 forceUpdate 하는방법
단순하게 생각해도 Global한 방식은 잘안쓸거 같군요..
// Globally
import Vue from 'vue';
Vue.forceUpdate();
// Using the component instance
export default {
methods: {
methodThatForcesUpdate() {
// ...
this.$forceUpdate(); // Notice we have to use a $ here
// ...
}
}
}
2. key 이용
key를 이용 하려면 Vue에서 제공하는 key에 대해서 알아야 하는데
Vue에서 key는 각 특정 component에 특정 값을 매핑해 두는데 이게 key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key가 동일하면 component가 변하지 않지만
key가 변하면 Vue는 예전 component 를 지우고 새로운 component를 만듭니다.
JDBC는 모든 Exception을 SQLException 에 하나에 모두 담아버린다. 대부분의 SQLException은 복구가 불가능하다. DAO 밖에서 SQLException을 다룰 수 있는 가능성은 거의 없다. 따라서 필요도 없는 기계적인 throws 선언이 등장하도록 방치하지 말고 가능한 한 빨리 언체크/런타임 예외로 전환해줘야 한다.
2. DataAccessException
런타임 예외이고 DataAccessException 중 가장 루트 class이다.
JdbcTemplate 템플릿과 콜백 안에서 발생하는 모든 SQLException을 런타임 예외인 DataAccessException으로 포장해서 던져준다.
Spring에서 DB 관련 Exception 은 DataAccessException 으로 한번 감싸줘서 알려준다고 보면 된다.
DBMS에 따라서 에러코드가 다를텐데 그래도 코드는 스프링에서 일관적으로 보여주니 일관성이 있어서 좋을 것이다.
dbcTemplate은 SQLException을 단지 런타임 예외인 DataAccessException으로 포장하는 것이 아니라 DB의 에러 코드를 DataAccessException 계층구조의 클래스 중 하나로 매핑해준다.JdbcTemplate에서 던지는 예외는 모두 DataAccessException의 서브클래스 타입이다.
드라이버나 DB 메타정보를 참고해서 DB 종류를 확인하고 DB별로 미리 준비된 매핑정보를 참고해서 적절한 예외 클래스를 선택하기 때문에 DB가 달라져도 같은 종류의 에러라면 동일한 예외를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주의할점은,
키값 중복이 되는 같은 상황이라도 똑같은 예외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데이터 액세스 기술에 상관없이 키 값이 중복이 되는 상황에 아래와 같이 동일한 예외가 발생하지 않는다.
JDBC는DuplicateKeyException, 하이버네이트는ContraintViolationException을 발생시킬 것이다.
3. 결론
결론적으로, 스프링이 잘 정립한 DataAccessException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특정기술에 따라 예상하지 못한 결과가 나올수 있다.
아직 모든 예외가 명확하게 추상화되어있지 않다.
이런 경우 로직에서 적절한 DataAccessException의 하위 클래스로 전환하는 방법 등을 사용해서 최대한 일관된 예외 전략을 가져가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스프링은 DataAccessException을 통해 DB에 독립적으로 적용 가능한 추상화된 런타임 예외계층을 제공한다.
DAO를 데이터 액세스 기술에서 독립시키려면 인터페이스 도입과 런타임 예외 전환, 기술에 독립적인 추상화된 예외로 전환이 필요하다.
@RestController
public class TestController{
@ExceptionHandler(NullPointerException.class)
public Object nullex(Exception e){
System.err.println(e.getClass());
return;
}
@ExceptionHandler({JdbcSQLException.class, BadSqlGrammarException.class, MyBatisSystemException.class})
public ResponseEntity<customedException> handleJdbcSqlException(Exception exception) {
return customedException(exception);
}
}
2. @RestControllerAdvice
- 전역으로 예외처리 관리 해주는 어노테이션이다
@RestControllerAdvice
public class GlovalExceptionTest{
@ExceptionHandler(NullPointer.class)
public ResponseEntity<CustomException> handleNullpointerException(Exception e){
return new CustomException(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