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를 하다보니
네트워크 기초가 부족하다는걸 절절히 느끼고
기초 책을 하나 빌려서 다보았당 '-'v(뿌듯)
그러니 대학교때 배웠던게 조금조금씩 기억도 나는거 같기두하구..
ㅋ_ㅋ;;
네트워크에서
OSI 7계층에 대해서 공부하고
데이터가 전달될때 OSI 모델에서 어떤일이 일어나나를 봐보겠다
1. OSI 계층
이 그림에서 OSI 계층이 무슨 일을 하는지 개략적으로 잘 보여준다.
1. 물리계층 (데이터 -> 전기신호 변환)
- OSI 모델의 최하위 계층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시스템간의 물리적인 연결을 하고 전기 신호의 변호나 및 제어하는 역할 담당
- 전송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어 전송하는 일 수행
2. 데이터 링크 계층 ( MAC주소)
- 네트워크 기기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물리주소를 결정
- 스위치( MAC 주소 테이블 )
* 허브와 달리 데이터 충돌 발생하지 않음
* MAC주소 테이블이 있음 : 스위치의 포트번호와 , MAC주소가 등록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같은 네트워크내,,,
3. 네트워크 계층 (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 / ip)
-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경로 설정을 위해 라우터를 통한 라우팅을 하며 패킷 전송 담당
- 라우터
* 서로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해 줄는 장치
* 현재의 네트워크에서 다른네트워크로 패킷을 전송 할 수 있다.
4. 전송 계층 ( 포트번호 )
-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역할
- 상위 계층들이 데이터 전달의 유효성이나 효율성은 신경쓰지 않고, 데이터가 중복되거나 누락되지 않고 오류 없이 순서에 맞게 전송 되도록 관리
5. 응용계층 ( 서비스 제공)
- 시스템 간의 응용 처리는 상호간에 통신하면서 일련의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필요한 서비스 기능 제공
- 이메일 , 파일 전송, 웹 사이트 조회 등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 제공
2. 데이터 전송 흐름
이 그림에서 컴퓨터에서 웹서버로 데이터 흐름이 이동하는데
스위치 A-> 라우터 A -> 라우터 B -> 스위치 B를 거친다.
스위치 A에서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라우터 A로 전송한다.
라우터 A에서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이더넷프레임의 목적지 MAC주소와 자신의 MAC주소를 비교한다.
주소가 같으면? 이더넷 헤더와 트레일러를 분리하는 역캡슐화를 수행
네트워크 계층에 전달해 라우팅 테이블과 목적지 IP주소를 비교한다.
현재 출발지 주소 192.168.1.10을 라우터 외부IP주소인 172.16.0.1로 변경한다.
라우터B에서는 외부 IP주소 172.16.0.1을 내부IP주소 192.168.10.1로 변경한다.
해당 그림은 전체 데이터 흐름의 OSI 계층을 지나가는 흐름을 그린 것이다.
3. OSI 계층별 캡슐화 / 역캡슐화
데이터를 보낼때 각계층에서 헤더를 붙여 나가는 것을 캡슐화 라고 한다.
그리고 반대로,
데이터를 수신할 대, 각 계층에서 헤더를 제거해 나가는 겻을 역캡슐화라고 한다.
각 계층에 필요한 정보를 덧붙여서 다음 계층으로 보내준다.
그리고 정보를 받을때는 해당 계층에 필요한 정보면 확인하고
맞으면 다음 계층으로 통과시키고 아니면 스탑,,
모든 사진의 출처
: 모두의 네트워크 (길벗 출판사)
'DEVELOP'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학습이란? ( feat. 지도학습) (1) | 2020.10.30 |
---|---|
[Security] 사용자 인증방식 종류와 결정 (0) | 2020.05.26 |
리눅스 alias 등록 방법 (0) | 2020.05.18 |
Feign 사용법 ( Neflix의 Rest Client 라이브러리) API GET/POST 하기~ (0) | 2020.03.12 |
OAuth 2.0이란? (0) | 2020.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