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에서 @Transactionl어노테이션을 쓰면 테스트 내에서 진행하는 모든 트랜잭션 관련 작업을 하나로 묶어 줄 수 있다.

 

@Transactionl은 애플리케이션의 클래스에 적용할 때와 디폴트 속성은 동일하다.

 

1. @Transactional

중요한 차이점은,

테스트용 트랜잭션은 테스트가 끝나면 자동으로 롤백된다는 것이다.

테스트에 적용된 @Transactional은 기본적으로 트랜잭션을 강제 롤백시키도록 설정~

롤백 테스트 가능 ㅎㅎ 굳


2. @Rollback

그런데,,, 트랜잭션을 커밋시켜서 테스트에서 진행작업을 DB 반영하고 싶다면?!

@Rollback 어노테이션 사용!

 

@Rollback의 기본값은 true라서 

트랜잭션은 적용되지만 롤백을 원치 않는다면 @Rollback(false) 라고 해주면 된닷!

 

 


3. @TransactionConfiguration

테스트 클래스의 모든 메소드에 트랜잭션을 적용하면서 모든 트랜잭션이 롤백되지 않고 커밋되게 하려면?!

일일히 메소드에 @Rollback(false)하지말고,

 

클래스레벨에 부여할 수 있는 @TransactionConfiguration 사용

 

@Transactional

@TransactionaConfiguraion(defaultRollback=false)

public class Test{

    ... ...

}

토비의 스프링을 진짜 오랜만에 펼쳐봤다,,

앞에만 보고 덮었었는데 

뒤에 알아야되는 내용이 그득 했다,, 

앞으로도 사전처럼 두고 봐야지 ㅎ_ㅎ

 


 

이번 포스팅은 @Transactional 속성에 대해서 알아보려고한당 (feat. 토비의 스프링~)

 

트랜잭션이란?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최소 단위의 작업

 

트랜잭션 매니저에서 트랜잭션을 가져올때 사용한 오브젝트는 DefaultTransactionDefinition이다.

 

Transaction status = this.transactionManager.getTransaction( new DefaultTransactionDefinition());

DefaultTransactionDefinition이 구현하고 있는 TrasactionDefinition  인터페이스는 트랜잭션 동작방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네가지 속성을 정의하고있다.

 


1. 트랜잭션 전파 ( Transaction propagation)

: 트랜잭션 경계에서 이미 진행중인 트랜잭션이 있을 떄 또는 없을 떄 어떻게 동작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방식

 

 

  • PROPAGATION_REQUIRED

:진행 중인 트랜잭션이 없으면 새로 시작하고, 이미 시작된 트랜잭션이 있으면 이에 참여한다

 

DefaultTransactionDefinition의 트랜잭션 전파 속성

 

  • PROPAGATION_REQUIRES_NEW

: 항상 새로운 트랜잭션을 시작한다

독립적인 트랜잭션이 보장돼야 하는 코드에 적용

 

 

  • PROPAGATION_NOT_SUPPORTED

: 트랜잭션 없이 동작하도록, 진행중인 트랜잭션이 있어도 무시한다.

 

 

=> 트랜잭션 매니저를 통해 트랜잭션을 시작할때, getTransaction()을 사용하는 이유는 바로 이 트랜잭션 전파 속성이 있기 때문이다. 

 

  • PROPAGATION_SUPPORT : 부모 트랜잭션 내에서 실행, 부모 트랜잭션이 없을 경우, notransactionally로 실행
  • PROPAGATION_MANDATORY : 부모 트랜잭션 내에서 실행되며, 부모 트랜잭션이 없을 경우 예외 발생
  • PROPAGATION_NEVER : notransactionally로 실행되며 부모 트랜잭션이 존재한다면 예외 발생

2. 격리 수준

: 모든 DB 트랜잭션은 격리수준 (isolation levlel)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성능을 위해서 적절하게 격리수준을 조정해서 가능한 한 많으 트랜잭션을 동시에 진행시키면서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하는 제어가 필요하다. 

 

격리수준은 기본적으로 DB에 설정, JDBC드라이버나 DataSource 등에서 재설정, 필요하다면 트랜잭션 단위로 조정!

 

 

DefaultTransactionDefinition에 설정된 격리수준은 ISOLATION_DEFAULT이다. 이는 DataSource설정되어 있는 디폴트 격리수준을 따른다.

 

블로그에서 더찾아볼때 더있는데,, 모르겠당 @_@

 


3. 제한시간

: 트랜잭션의 수행하는 제한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DefaultTransactionDefinition의 기본설정은 제한시간 음슴..

 

 

 


4. 읽기 전용

: 읽기전용(read only)로 설정하면 트랜잭션내 데이터 조작시도를 막을 수 있다. 성능이 향상 될수도 있다. 

 


 

스프링이 제공하는 TransactonInterceptor에는 예외처리 두가지 방법이 있다.

 

1. 런타임 예외 발생 -> 트랜잭션 롤백

2. 체크예외 -> 예외상황으로 해석하지 않는다. 의미가 있는 리턴방식의 한가지로 인식해서 트랜잭션을 커밋한다.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은 인터페이스, 클래스, 메소드에 쓸 수 있다. 

 

해당 구현한 클래스에서도 모두 @Transactionl 어노테이션을 쓰고 싶으면 인터페이스에,

클래스에서만 쓰고 싶으면 클래스에

메소드별로 따로 가지고 가고싶으면 메소드에 쓰면된다

 

나같음 클래스나,,, 메소드 정도로만 쓸듯,,하다

 

 

 


 

ㅎㅎ 토비의 스프링을 보니깐 이해가 그래도 잘되는거 같당~

계속 읽어봐야짓 ㅎㅅㅎ 

 

 

 

 

스프링에서 Filter, Interceptor, AOP는 모두 어떤 동작 이전/이후에 추가적으로 처리해주어야 할때 사용한다.

기능적으로는 비슷한데 내부 구현적으로는 차이가 있다.

 

Filter, Interceptor : Sevlet 단위에서 실행

AOP : 메소드 앞에 proxy 패턴의 형태로 실행

 

그래서 실행 순서도 차이가 있다 ???

 

Filter -> Interceptor -> AOP -> Interceptor -> Filter 순이다

이미지 참조 : blog.naver.com/platinasnow/220035316135

 

Request -> Servlet Filter -> Dispatcher Servlet -> HandlerInterceptor -> Controller

 

1. 서버를 기동시켜 서블릿이 올라오는 동안 init 실행 되고 FilterdoFilter 실행

2. 컨트롤러 이전에 InterceptorpreHandler실행

3. 컨트롤러 빠져나온다음 InterceptorpostHandler, afterCompletion 실행

4. FilterdoFilter 진행

5. 서블릿 종료시 destroy 실행

 

AOP는 주로 비지니스 로직단에서 로깅,트랜잭션, 공통예외처리 에서사용한다.

 

 

참고

hayunstudy.tistory.com/53

 

# Filter , Interceptor , AOP 사용목적 정리

Filter,Interceptor,AOP 모두 요청 중간에 가로채서 사전처리,사후처리를 하는 의미는 비슷하다. 로깅처리 또한 셋다 가능. 차이점이라고 하면 , 1. 셋의 시점이 다르다는것 : Filter -> Interceptor -> AOP 2. 적

hayunstudy.tistory.com

junshock5.tistory.com/142

 

Filter, Intercepter, AOP 차이점

[ 배경 ] 자바 웹 개발을 하다 보면, 공통적으로 처리해야 할 업무가 생깁니다. 예를 들어 로그인 관련 세션 처리, 사용자 권한 체크, XSS(Cross Site Script) 방어 로직, PC Mobile 플랫폼 분기 처리, 로그

junshock5.tistory.com

 

Git을 오래 사용하였지만 

commit.. pull.. merge..push...

이외에는 잘 사용하지 않았던거 같다..

(사실 지금도 그렇당 ㅎㅎ)

 

쓰다보니 다른기능도 

알아두면 좋을거같은데..

매번 내가 헷갈려서 쓰는 포스팅,, ㅎ1ㅎ1

 

 

 

1. amend : commit 수정

$ git add sample.txt
$ git commit --amend

이걸 쓰는건 못봤지만.. Git 홈페이지에 있길래 

쓸진 모르겠당

 

2. revert : commit 취소

$ git revert HEAD

제일 많이 쓰는것중 하나,,! intelliJ에서는 undo도 가능하다.

둘다 써보니 revert는 취소하는 comiit을 하나 더 치는거고 undo는 아예 없애는것이 다른점이다.

 

3. reset : master 브랜치 앞의 commit을 삭제

$ git reset --hard HEAD~~

실수로 reset을 잘못 했을 경우 , 'ORIG_HEAD'로 reset전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 git reset --hard ORIG_HEAD

 

4. cherry-pick : 특정 commit을 선택해서 반영하기 

체리나무에 달려 있는 체리를 하나씩 골라 따듯이,, 커밋들을 골라서 반영하는것이 체리픽!

이건 잘 쓸거 같당

 

$ git checkout master
Switched to branch 'master'
$ git cherry-pick 99daed2

 

5. rebase : 여러개의 commit을 반영하기 

$ git rebase {branch name}

브랜치에 여러 커밋을 하나로 합쳐준다.

 

rebase -i 옵션을 붙여서 commit 순서를 바꾸거나 첨삭 할 수 있다. 

$git rebase -i HEAD~3

 

6. merge : 두개의 branch를 하나로 합치기

개발하다보니 더 추가할사항이 있어서 추가해보겠당~!

 

1. Liquibase 란?

데이터베이스 변경관리를 체계적으로 자동화 해주는 오픈소스 (스키마 버전 관리)

 

개발하다보면 DB가 어쩔수 없이 변경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경우 갑자기 DB를 변경할 경우

각 개발자 로컬에서 수많은 버그들이 발생할것이다.. 그리고 관리도 어렵고

그래서 관리를 하기위해서 git처럼 형상관리로 하는거다 project 안에 파일이 있으니까 더 수월히 된다 

 

2. 사용법

1. maven 에 liquibase를 pom.xml에 추가해준다.

 

<dependency>
<groupId>org.liquibase</groupId>
<artifactId>liquibase-core</artifactId>
</dependency>

 

2. liquibase.xml 파일을 생성해준다.

부모가 되는 xml 파일이다. 다른 각각 테이블 별로 된 xml 파일을 여기서 include 해준다.

 

<include file="~~~.xml" relativeToChangelogFile="true" />

 

3. 각 테이블마다 xml을 만들어 주면된다. 

 

https://www.liquibase.org/documentation/xml_format.html

 

Liquibase | Database Refactoring | XML Format

XML Format Liquibase supports XML as a format for storing your changelog files. XSD Support XSD schema definitions are available for each Liquibase version. Since there are no changelog format changes in patch versions, there are only xsd files that corres

www.liquibase.org

 

<databaseChangeLog xmlns="http://www.liquibase.org/xml/ns/dbchangelog"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mlns:ext="http://www.liquibase.org/xml/ns/dbchangelog-ext" xsi:schemaLocation="http://www.liquibase.org/xml/ns/dbchangelog http://www.liquibase.org/xml/ns/dbchangelog/dbchangelog-3.0.xsd http://www.liquibase.org/xml/ns/dbchangelog-ext http://www.liquibase.org/xml/ns/dbchangelog/dbchangelog-ext.xsd"> <preConditions> <runningAs username="liquibase"/> </preConditions> <changeSet id="1" author="nvoxland"> <createTable tableName="person"> <column name="id" type="int" autoIncrement="true"> <constraints primaryKey="true" nullable="false"/> </column> <column name="firstname" type="varchar(50)"/> <column name="lastname" type="varchar(50)"> <constraints nullable="false"/> </column> <column name="state" type="char(2)"/> </createTable> </changeSet> <changeSet id="2" author="nvoxland"> <addColumn tableName="person"> <column name="username" type="varchar(8)"/> </addColumn> </changeSet> <changeSet id="3" author="nvoxland"> <addLookupTable existingTableName="person" existingColumnName="state" newTableName="state" newColumnName="id" newColumnDataType="char(2)"/> </changeSet> </databaseChangeLog>

 

 

 

4. spring에 databaseConfig 파일d에 liquibase관련 내용을 Bean으로 만들어준다.

 

SpringLiquibase liq = new SpringLiquibase();

 

liq에 필요한 내용을 set해준다( datasource등..)

 

 

 

5. 그이후 서버를 기동하면 다음과 같은 테이블이 생성함을 확인 할 수 있다.

databasechangelog

databasechangeloglock

databasechangelog는 한번 돌았던 xml파일을 다시 반영하지 않기 위해 어떤파일을 database에 반영했는지

기록하는 테이블이고

 

 

databasechangeloglock은 기동하면서 xml파일이 반영될때 lock을 잡고 있을때 테이블에 데이터가 들어갔다가

lock이 해제되면 빠진다

 

 

 

 

 

'DEVELOP > 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riaDB] general log 설정하기  (0) 2020.05.25
DB (mysql) 설정 변경  (0) 2020.03.13
NewSql 이란? All in one DBMS  (0) 2019.12.16
NoSql DB 종류  (0) 2019.12.13
DB(database)의 종류  (0) 2019.12.11

1. RestTemplate이란?

Spring 3.0부터 지원하며 스프링에서 http 통신에 유용하게 쓸수 있도록 제공해주는 템플릿이다.

즉, API 통신해서 가져 올수 있도록 도와준다.

 

2. 예시코드

@GetMapping("/test")
    public ResponseEntity<List> testList(testVo testVo) {
        String url = "http://testurl.com"; // api url
      

  //get parameter 담아주기
        UriComponentsBuilder builder = UriComponentsBuilder.fromHttpUrl(url)
                .queryParam("test1", testVo.getUserId())
                .queryParam("test2", testVo.getValue());
       HttpComponentsClientHttpRequestFactory httpRequestFactory = new HttpComponentsClientHttpRequestFactory();
        httpRequestFactory.setConnectTimeout(30000); // 연결시간 초과
        //Rest template setting
        RestTemplate restTpl = new RestTemplate(httpRequestFactory);
        HttpHeaders headers  = new HttpHeaders(); // 담아줄 header
        HttpEntity entity = new HttpEntity<>(headers); // http entity에 header 담아줌

        ResponseEntity<JSONArray>  responseEntity = restTpl.exchange(url, HttpMethod.GET, entity, JSONArray.class);
        L.info("responseEntity.getBody()" + responseEntity.getBody());
        List result = (List) responseEntity.getBody();

        return ResponseEntity.ok(result);
    }

 

3. 설명

HttpComponentsClientHttpRequestFactory :  RestTemplate 는 ClientHttpRequestFactory 로 부터 ClientHttpRequest 를 가져와서 요청을 보낸다.

 

RestTemplate template = new RestTemplate(new HttpComponentsClientHttpRequestFactory());
이렇게 써도 가능하나 다양한 설정을 추가하지 못한다.

 

POST 방법으로 하고 싶으면 HttpEntity를 선언할때 body부 를 넣어주면된다.

String body =~~; // 보통 map형식

HttpEntity entity = new HttpEntity(body,headers);

 

그리고 여기서는 return을 List로 받고싶어서 JSONArray를 썼는데, 

List<Object> 형태가 아닌 다양한 JSon 형태라면 JSONObject로 리턴받아 해당 값을 get해도 된다.

ResponseEntity<JSONObject>  responseEntity = restTpl.exchange(url, HttpMethod.GET, entity, JSONObject.class); 

responseEntity.getBody().get("example");

4. 참조 문서

https://docs.spring.io/spring-framework/docs/current/javadoc-api/org/springframework/web/client/RestTemplate.html

 

RestTemplate (Spring Framework 5.1.7.RELEASE API)

Synchronous client to perform HTTP requests, exposing a simple, template method API over underlying HTTP client libraries such as the JDK HttpURLConnection, Apache HttpComponents, and others. The RestTemplate offers templates for common scenarios by HTTP m

docs.spring.io

해당 페이지에 Get, Post등 다양한 방법이 나와있다. 

나는 여기서 exchange 방법을 썼는데 HTTPMETHOD.GET / POST로 바꿔서 쓰면된다.

JPA(Java Persistent API)


 JPA는 여러 ORM 전문가가 참여한 EJB 3.0 스펙 작업에서 기존 EJB ORM이던 Entity Bean을 JPA라고 바꾸고 JavaSE, JavaEE를 위한 영속성(persistence) 관리와 ORM을 위한 표준 기술이다. JPA는 ORM 표준 기술로 Hibernate, OpenJPA, EclipseLink, TopLink Essentials과 같은 구현체가 있고 이에 표준 인터페이스가 바로 JPA이다.

  ORM(Object Relational Mapping)이란 RDB 테이블을 객체지향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술이다. RDB 테이블은 객체지향적 특징(상속, 다형성, 레퍼런스, 오브젝트 등)이 없고 자바와 같은 언어로 접근하기 쉽지 않다. 때문에 ORM을 사용해 오브젝트와 RDB 사이에 존재하는 개념과 접근을 객체지향적으로 다루기 위한 기술이다.


따로 쿼리 없이 vo와 db를 연결해준다.








CRUDRepository를 extends 하는것만으로도

기본적인 CRUD는 모두 제공한다.


따라서 추가적으로 구현할 것은 없다.

다만 SQL이 필요 할때만 @Query로 annotation을 추가하여

쿼리를 추가해주면 된다.


Query를 추가하는 방식은 두가지가 있는데

1. db query

2.vo  클래스에 관해서 쿼리를 날리는 방법



 

 

 

이 문제는 Union & Find 문제이다.

 

공통 원소가 없는, 즉 상호 배타적인 부분 집합들로 나눠진
원소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조작하는 자료구조

 

초기화에는 자신이 부모인 것으로 초기화 해준다.

 

그리고 나서 부모 - 자식 관계

즉, 문제에서 동맹관계를 알려주면

 

해당 부모 자식관계를 par[] 배열에 맺어준다

 그런데 어차피

동맹의 동맹은 동맹이므로

 

최종적으로 가장 높은 root를 같은걸 가리키고 있으면

같은 동맹이란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래서 find 펑션에서

가장 높은 root를 찾을 수있도록 재귀로 구현해주었다.

 

 

 

 

 

 

 

동맹관계를 맺어주는

type =0 이면

각각 부모 - 자식관계를 맺어주고

 

type =1 이면 가장 높은 root를 구해주는

find 펑션을 통해

그 값이 같은지 비교해서

 

출력해준다.

 

 

 

'DEVELOP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순 2진 암호코드  (0) 2020.01.14
View 조망권 문제  (0) 2020.01.14
KOITP - BFS / DFS 문제 풀기  (0) 2018.06.11
KOITP 가장 많은수 ( count sort)  (0) 2018.06.08
백준 9663번 Nqueen 문제 풀이  (2) 2018.06.08

 

 

 

DFS와 BFS 문제이당

츄욱,,,,,

 

대학교때 다 했던건데,,,

지나면 까먹는닷 ^^,,,

 

 

그래도 교수님이 잘 설명해주셔서

엄청!! 잘이해했다

(지금만큼은,,,)

 

 

 

여기선 하나만 더하면된다

기본적인 DFS와 BFS를 하고

 

오름차순 순으로 출력하라고 했으니깐

 

인접리스트에 오름차순으로 넣어주면 된당!!!!

츄욱,,,

이거때문에 선생님한테 물어도 봣당^_^,,,,,

 

 

 

 

 

 

 

 

BFS는

큐를 사용하였고

 

 

DFS는 스택을 사용하였당

그리고 DFS는 재귀를 사용!

그리고 C배열을 이용하여

방문하였는지 안하였는지를 쳌쳌!!!!

 

 

 

 

 

 

 

 

 

 

다음 문제는 count sort를 알면 그렇게 어렵지는 않았다.

 

먼저

1. 입력 받은 배열을 정렬을 하고

 

2. 정렬된 배열의 카운트 배열을 만들어준다.

 

- 카운트 배열을 만들때 모두 다 셀 필요가 없고

이미 정렬되어 있기 때문에

앞뒤 값을 비교 해서 같으면 +1

다르면 1을 넣어주면 된다.

 

 

 

 

 

 

 

 

 

 

@_@ 하루종일

문제 푸니깐

머리가 더 잘 안돌아가는거 같다,,

 

자괴감이 든다 ^_^,,,,,

후후,,,,

 

 

그럼 이만

뿅!

+ Recent posts